레퀴엠 (베를리오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리오즈의 레퀴엠은 1837년 프랑스 내무부 장관 아드리앵 드 가스파랭의 의뢰로 작곡된 대규모 레퀴엠 미사곡이다. 1830년 7월 혁명에서 사망한 병사들을 기리기 위해 작곡되었으며, 1837년 12월 5일 앵발리드에서 프랑수아 아베넥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이 곡은 10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낭만주의 시대의 특징과 베를리오즈 특유의 개성이 나타나는 음악 양식을 보여준다. 대규모 오케스트라와 합창, 그리고 무대 모퉁이에 배치된 4개의 금관악기 합창단을 포함하는 독창적인 악기 편성이 특징이며, 여러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에 의해 녹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작품 - 환상교향곡
엑토르 베를리오즈가 작곡한 5악장 교향곡 환상교향곡은 짝사랑에 빠진 예술가의 고뇌와 환상을 '고정 악상'이라는 반복 선율로 연결하여 표현한 낭만주의 음악의 대표작이다. -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작품 - 파우스트의 겁벌
《파우스트의 겁벌》은 엑토르 베를리오즈가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오라토리오와 오페라의 중간 형태인 "극적인 전설"로, 파우스트, 메피스토펠레스, 마르그리트 등의 주요 인물과 라코치 행진곡, 요정의 춤 등의 유명 음악이 포함되어 있다. - 진혼곡 - 독일 레퀴엠
브람스의 《독일 레퀴엠》은 독일어 루터 성경 가사를 사용한 7악장 구성의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레퀴엠으로, 슬픔과 위로, 삶의 덧없음과 영원한 희망을 담고 있으며, 독특한 구성과 인본주의적 메시지로 평가받고, 다양한 악기 편성, 폴리포니 기법, 장3도 모티프 등을 활용한 작품이다. - 진혼곡 - 레퀴엠 (베르디)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레퀴엠 미사곡은 로시니를 위한 공동 레퀴엠 프로젝트 참여를 계기로 시작되었으나, 만초니의 사망을 계기로 그를 추모하기 위한 독자적인 작품으로 완성되었으며, 오페라적 스타일과 극적인 표현, 여성 성악가의 적극적인 활용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레퀴엠 (베를리오즈) | |
---|---|
기본 정보 | |
곡명 | 레퀴엠 |
다른 이름 | Grande Messe des morts (장엄 미사곡) |
작곡가 | 헥토르 베를리오즈 |
작품 번호 | 5 |
작곡 계기 | 1830년 7월 혁명에서 사망한 군인들을 위한 추모 |
가사 | 레퀴엠 |
언어 | 라틴어 |
초연일 | 1837년 11월 5일 |
출판일 | 1838년, 파리 |
악장 | 10개 |
악기 편성 | 테너 합창단 관현악단 4개의 금관 앙상블 |
관련 링크 | |
![]() |
2. 역사적 배경
1837년 프랑스 정부는 7월 혁명 희생자와 루이 필립 왕 암살 미수 사건 희생자를 위한 위령제를 위해 베를리오즈에게 레퀴엠 작곡을 의뢰했다. 베를리오즈는 이 기회를 통해 대규모 관현악 작품을 작곡하고자 했다.
초연은 프랑수아 아베넥의 지휘로 이루어졌는데, 베를리오즈는 아베넥이 중요한 순간에 지휘를 멈추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회고했다. 베를리오즈는 자신이 직접 지휘하여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1838년 파리의 모리스 슐레징거(Maurice Schlesinger)사에서 출판되었다. 이후 1852년과 1867년에 개정이 이루어졌다.
2. 1. 작곡 배경
1837년, 프랑스 내무부 장관 아드리앵 드 가스파랭은 1830년 7월 혁명에서 사망한 병사들을 기리는 레퀴엠 미사곡 작곡을 베를리오즈에게 의뢰했다. 이는 1835년 주세페 마르코 피에스키의 루이 필립 왕 암살 미수 사건으로 사망한 트레비즈 공작 에두아르 모르티에 원수의 기일에 공연될 예정이었다.[1] 당시 33세의 젊은 작곡가였던 베를리오즈에게 이러한 정부 공식 행사를 위한 음악이 의뢰된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는데, 이는 베를리오즈에게 호의를 갖고 있던 내무부 장관 아드리앵 드 가스파랭의 의향에 따른 것이었다.[5]베를리오즈는 대규모 관현악 작품을 작곡하고 싶어했기에 이 요청을 수락했다. 그는 위령제까지 기간이 짧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작품인 「장엄 미사곡」의 일부를 활용하여 6월 29일에 전곡을 완성했다. 그러나 그 해의 혁명 기념식은 규모가 축소되었고, 파리의 앵발리드 예배당에서 예정되었던 '레퀴엠' 연주는 취소되었다.
베를리오즈는 자금난에 빠졌지만, 알제리 침략에서 전사한 프랑스 장군 샤를-마리 드니 드 담르몽을 비롯한 장병들의 추도식이 거행될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그때 '레퀴엠'이 연주되도록 노력했다. 그 결과, 같은 해 12월 5일 프랑스 육군 주최로 앵발리드 예배당에서 열린 추도식에서 프랑수아 아베넥의 지휘로 베를리오즈의 '레퀴엠'이 초연되었다. 베를리오즈는 훗날 "만약 내 모든 작품을 하나만 남기고 파괴될 위기에 처한다면, 나는 '위령미사'(Messe des morts)를 살려달라고 간청할 것입니다."라고 썼다.[2]
2. 2. 초연과 개정
1837년 프랑수아 아베넥(François Habeneck)의 지휘로 파리 앵발리드(Les Invalides)에서 초연되었다. 콩스탕틴 공성전(Siege of Constantine)에서 전사한 다므레몽 장군(Charles-Marie Denys de Damrémont)과 병사들을 기리는 추모식에서 이루어졌다.[3]베를리오즈는 자신의 회고록(Mémoires)에서 초연 당시 지휘자 아베넥이 "튜바 미룸"(Tuba mirum)(Dies irae|진노의 날la 악장의 일부) 부분에서 담배를 피우기 위해 지휘봉을 내려놓았다고 주장했다. 베를리오즈는 이를 보고 급히 지휘대에 올라가 나머지 연주를 직접 지휘하여 공연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한다.[3]
베를리오즈는 생전에 두 번 작품을 수정했는데, 1852년에 첫 번째 수정이, 1867년에 마지막 수정이 이루어졌다. 1852년 개정판은 1853년 밀라노의 리코르디(Ricordi)사에서 출판되었다.
3. 구조
베를리오즈의 레퀴엠은 앵발리드 예배당 공간을 고려하여, 합창과 주된 오케스트라 외에 금관악기 밴드를 사방에 배치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6]
편성은 다음과 같다.
- 테너 독창
- 혼성 6부 합창 - 소프라노 2부(80명), 테너 2부(60명), 베이스 2부(60명)
- 오케스트라 - 플루트 4, 오보에 2, 코랑글레 2, 클라리넷 4, 바순 8, 호른 12, 팀파니 8대(연주자 10명), 대태고 2, 탐탐 4, 심벌즈 10대, 현 5부(최소 제1바이올린 25, 제2바이올린 25, 비올라 20, 첼로 20, 콘트라베이스 18)
- 밴드 1 - 코넷 4, 트롬본 4, 투바 2
- 밴드 2 - 트럼펫 4, 트롬본 4
- 밴드 3 - 트럼펫 4, 트롬본 4
- 밴드 4 - 트럼펫 4, 트롬본 4, 오피클라이드 4[6]
곡의 대부분은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의 혼성 6부 합창과 오케스트라 반주로 연주되지만, 「산크투스(Sanctus)」의 「호산나」를 제외한 부분에는 알토 합창과 독창 테너가 포함된다. 밴드는 「진노의 날(Dies Irae)」에 이어지는 「놀라운 나팔」(Tuba mirum) 부분과 「눈물의 날(Lacrymosa)」에 사용된다. 반면 「나를 찾으시는(Quaerens me)」은 무반주이며, 「찬미의 제물(Hostias)」에서는 약음으로 연주되는 밴드의 트롬본과 플루트가 반주를 담당한다. 이처럼 각 곡의 편성 규모는 다양하며,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가 특징이다.
인원은 상대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장소가 허락한다면 합창은 2~3배 증원하고, 그에 따라 오케스트라도 비례적으로 늘리는 것이 좋다. 단, 합창이 700명, 800명을 초과할 때는, 전원이 노래하는 것은 「진노의 날(Dies Irae)」, 「놀라운 나팔(Tuba mirum)」 및 「눈물의 날(Lacrymosa)」뿐이며, 나머지 악장은 400명 정도로 노래하는 것이 제안된다.
3. 1. 악장 구성
베를리오즈의 레퀴엠은 10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레퀴엠 구성 요소를 따르면서도 베를리오즈만의 독창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레퀴엠 고유 문헌을 바탕으로 하지만, "베네딕투스(Benedictus)"는 생략되고 "산투스(Sanctus)"가 반복 연주된다. 전체 연주 시간은 약 1시간 25분이다.번호 | 제목 | 비고 |
---|---|---|
1 | 영원한 안식(Requiem aeternam) & 자비송(Kyrie) | 입장(Introit) |
2 | 진노의 날(Dies irae) | 산문(Prosa), 놀라운 나팔(Tuba mirum) |
3 | 비참한 나(Quid sum miser) | 서열(Sequence) |
4 | 두려운 왕(Rex tremendae) | 서열(Sequence) |
5 | 나를 찾으시는(Quaerens me) | 서열(Sequence) |
6 | 눈물의 날(Lacrimosa) | 서열(Sequence) |
7 | 주 예수 그리스도여(Domine Jesu Christe) | 헌정(Offertory) |
8 | 제물(Hostias) | 헌정(Offertory) |
9 | 거룩하시다(Sanctus) | |
10 | 어린 양이시여(Agnus Dei) |
- '''입장송과 키리에(Introit et Kyrie)''':제2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상승 음형으로 시작하여 관악기가 가세한다. 곧, 베이스가 "주여, 영원한 안식을"이라고 노래하기 시작한다.
- '''속창(Séquence)'''
- '''진노의 날(Dies Irae)''':첼로와 콘트라베이스에 의해 "진노의 날" 주제가 연주된다. 소프라노가 노래를 시작하고, 곧 후반부의 최후 심판을 알리는 "놀라운 나팔 소리"로 이어진다.
- '''그때 비참한 나(Quid sum miser)''':합창은 남성만이 되고, 오케스트라도 제한된 편성이 된다. "진노의 날"의 동기가 사용된다.
- '''두려운 위엄의 왕(Rex tremendae)''':밴드가 활약한다.
- '''나를 찾으시니(Quaerens me)''':오케스트라 연주 없이 무반주 합창이 노래한다.
- '''눈물의 날(Lacrymosa)''':오케스트라 연주 아래 합창이 "그 날이야말로 눈물의 날"이라고 싱코페이션 리듬을 수반한 선율을 노래한다. 밴드가 활약한다.
- '''봉헌송(Offertoire)'''
- '''주 예수 그리스도여(Domine Jesu Christe)''':마지막은 아멘의 기도로 끝맺는다.
- '''찬미의 제물(Hostias)''':현악 합주 후, 4부 합창이 "찬미의 제물과 기도"를 무반주로 노래한다.
- '''산투스(Sanctus)''':테너 독창이 등장한다.
- '''어린양의 노래와 영성체(Agnus Dei et Communion)''':밴드가 활약한다. 지금까지 나왔던 "찬미의 제물"과 "입장송과 키리에"의 일부가 다시 한번 사용되고, 곧 마지막 아멘이 현악의 피치카토, 관악기, 팀파니의 약주 아래 반복되면서 조용히 전곡이 끝난다.
4. 음악적 특징
베를리오즈의 레퀴엠은 독창적인 음악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제1악장: 현악기, 호른, 오보에, 잉글리시 호른이 상승하는 음계로 시작하고 합창이 이어진다. 미사곡의 첫 두 부분인 인트로이투스(Introitus)와 키리에(Kyrie)를 포함한다.[4]
- 제2악장: 진노의 날(Dies irae)로 시작하는 시퀀스로, 심판의 날을 묘사한다. 세 번의 변조 후, 무대 모퉁이나 홀 전체에 배치되는 네 개의 금관악기 합주단이 포르티시모(Fortissimo) E♭장조 코드로 등장한다. 16개의 팀파니, 두 개의 베이스 드럼, 네 개의 탐탐이 합류한다. "투바 미룸(Tuba mirum)"은 합창 바스의 강력한 유니슨으로 시작하고, 합창단 전체가 이어받는다. 마지막 심판을 알리는 팡파르가 카논 형태로 재현되고, 합창은 목관악기, 현악기와 함께 속삭이듯이 악장을 마무리한다.[4]
- 제3악장: "미제르 숨(Quid sum miser)"은 짧은 악장으로, 심판 후를 묘사한다. TTB 합창, 잉글리시 호른 2대, 바순 8대, 첼로, 더블베이스로 편성된다. "렉스 트레멘다에(Rex tremendae)"에서는 금관악기 합주단이 다시 등장하여 합창과 역동적인 대조를 이룬다. "퀘렌스 메(Quaerens me)"는 조용한 무반주(a cappella) 악장이다.[4]
- 제6악장: "락리모사(Lacrimosa)"는 박자로, 소나타 형식으로 쓰여진 악장이다. 대규모 금관악기와 타악기가 점차 추가되며 극적인 효과가 고조된다.[4]
- 제7악장: 오퍼토리(Offertory)의 시작이다. "도미네 예수 크리스테(Domine Jesu Christe)"는 D단조의 준 모드 모티프를 기반으로 한 조용한 관현악 푸가로 시작한다. 합창의 세 음표(A, B♭, A) 모티프는 심판에서의 자비를 구하며, 거의 끝까지 이어진다. "호스티아스(Hostias)"는 짧고, 남성 성부, 트롬본 8대, 플루트 3대, 현악기로 편성된다.[4]
- 제9악장: "산투스(Sanctus)"는 D♭장조이며, 플루트와 약음기를 낀 현악기 반주 위에 테너 독창이 노래한다. 여성 목소리가 따라 하고, 활기찬 푸가("호산나 인 엑셀시스(Hosanna in excelsis)")가 이어진다. 심벌즈와 베이스 드럼이 추가되고, "호산나" 푸가는 확장되어 반복된다. 베를리오즈는 독창을 테너 10명이 부를 수 있다고 제안했다.[4]
- 마지막 악장: "아뉴스 데이(Agnus Dei)"와 영성체 부분을 포함하며, 목관악기와 현악기의 긴 코드가 특징이다. "호스티아스"와 "인트로이투스" 등 이전 악장의 선율과 효과를 다시 사용한다.[4]
각 악장별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입장송과 키리에(Introit et Kyrie): 제2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상승 음형으로 시작, 관악기 가세, 베이스의 "주여, 영원한 안식을" 노래.
- 속창(Séquence):
- 진노의 날(Dies Irae): 첼로와 콘트라베이스의 주제 연주, 소프라노 노래, 최후 심판을 알리는 "놀라운 나팔 소리".
- 그때 비참한 나(Quid sum miser): 남성 합창, 제한된 오케스트라 편성, "진노의 날" 동기 사용.
- 두려운 위엄의 왕(Rex tremendae): 밴드 활약.
- 나를 찾으시니(Quaerens me): 무반주 합창.
- 눈물의 날(Lacrymosa): 오케스트라 연주 아래 합창, 싱코페이션 리듬, 밴드 활약.
- 봉헌송(Offertoire):
- 주 예수 그리스도여(Domine Jesu Christe): 아멘 기도로 마무리.
- 찬미의 제물(Hostias): 현악 합주 후, 4부 합창의 무반주 노래.
- 산투스(Sanctus): 테너 독창.
- 어린양의 노래와 영성체(Agnus Dei et Communion): 밴드 활약, "찬미의 제물"과 "입장송과 키리에" 일부 재사용, 현악 피치카토, 관악기, 팀파니 약주 아래 조용한 마무리.
4. 1. 악기 편성
베를리오즈의 레퀴엠은 매우 큰 규모의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무대 모퉁이에 4개의 금관악기 합창단[4]과 합창단이 포함된다. 앵발리드 예배당 공간을 고려하여, 합창과 주된 오케스트라와는 별도로 금관악기 밴드를 사방에 배치하고 있다.구분 | 악기 편성 |
---|---|
목관악기 | 플루트 4,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2, 클라리넷 (내림 나) 4, 바순 8 |
금관악기 | 호른 12 (4부, 2악장에서 추가 2; 라, 마, 가, 다조), 코넷 (내림 나) 4, 튜바 4 |
타악기 | 팀파니 16 (6쌍, 단독 4), 큰북 2, 심벌즈 10쌍, 탐탐 4 |
4부의 소규모 금관 합주 | |
현악기 | 제1바이올린 25, 제2바이올린 25, 비올라 20, 첼로 20, 더블베이스 18 |
성악 | 테너 독창, 소프라노·알토 합창 80, 테너 60, 베이스 70 |
베를리오즈는 악보에서 가수와 현악기의 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표시된 연주자 수는 상대적인 것일 뿐입니다. 공간이 허락한다면 합창단을 두 배 또는 세 배로 늘리고 오케스트라도 비례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700~800명의 매우 큰 합창단의 경우, '진노의 날', '튜바 미룸', '눈물의 날'에서만 전체 합창단을 사용해야 하며, 나머지 악장은 400명으로 제한해야 합니다."[6]
곡의 대부분은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의 혼성 6부 합창과 오케스트라 반주로 연주되지만, 「산크투스(성스러운가)」의 「호산나」 이외의 부분에만 알토 합창과 독창 테너가 들어간다. 또한, 밴드는 「진노의 날」에 이어지는 「놀라운 나팔」(Tuba mirum) 부분과 「눈물의 날」에 사용된다. 반면에 「나를 찾으라」는 무반주이며, 「찬미의 제물」에서는 약음으로 연주되는 밴드의 트롬본과 플루트가 반주를 담당한다. 이와 같이, 단순히 대규모 관현악단일 뿐만 아니라 각 곡의 편성 규모는 다양하고, 또한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은 것이 특징이다.
4. 2. 음악 양식
베를리오즈의 레퀴엠은 낭만주의 시대 음악의 특징을 잘 보여주면서도, 베를리오즈 특유의 독창적인 음악 양식이 돋보이는 작품이다.제1악장은 현악기, 호른, 오보에, 잉글리시 호른이 상승하는 음계로 시작하여 합창으로 이어진다. 여기에는 미사곡의 첫 두 부분인 인트로이투스(Introitus)와 키리에(Kyrie)의 음악이 포함된다.
제2악장은 진노의 날(Dies irae)로 시작하는 시퀀스로, 심판의 날을 묘사한다. 세 개의 합창 부분이 변조를 거듭하며, 특히 베를리오즈가 무대 모퉁이에 배치하도록 지시한 네 개의 금관악기 합주단이 강렬하게 등장한다. 이들은 16개의 팀파니, 두 개의 베이스 드럼, 네 개의 탐탐과 함께 웅장한 소리를 만들어낸다. 이후 합창 바스가 "투바 미룸(Tuba mirum)"을 선언하고, 합창단 전체가 이어받는다. 마지막 심판을 알리는 팡파르가 카논 형태로 재현되고, 합창은 목관악기, 현악기와 함께 속삭이듯이 악장을 마무리한다.
제3악장 "미제르 숨(Quid sum miser)"은 짧은 악장으로, 심판 후의 상황을 묘사한다. TTB 합창, 두 대의 잉글리시 호른, 여덟 대의 바순, 첼로, 더블 베이스로 편성되어 있다. "렉스 트레멘다에(Rex tremendae)"에서는 금관악기 합주단이 다시 등장하여 합창과 역동적인 대조를 이룬다. "퀘렌스 메(Quaerens me)"는 조용한 무반주(a cappella) 악장이다.
제6악장 "락리모사(Lacrimosa)"는 박자로, 미사곡의 시퀀스 부분을 마무리하는 유일한 소나타 형식 악장이다. 대규모 금관악기와 타악기가 점차 추가되면서 극적인 효과가 고조된다.
제7악장은 오퍼토리(Offertory)의 시작이다. "도미네 예수 크리스테(Domine Jesu Christe)"는 D단조의 준 모드 모티프를 기반으로 한 조용한 관현악 푸가로 시작한다. 합창에서는 세 음표(A, B♭, A) 모티프가 반복되며 심판에서의 자비를 구한다. 이 모티프는 거의 끝까지 이어지며 평화롭게 마무리된다. 오퍼토리의 마지막 부분인 "호스티아스(Hostias)"는 짧고, 남성 성부, 여덟 대의 트롬본, 세 대의 플루트, 현악기로 편성된다.
제9악장 "산투스(Sanctus)"는 D♭장조이며, 플루트와 약음기를 낀 현악기의 긴 음표 반주 위에 테너 독창이 노래한다. 조용한 여성 목소리가 독창 부분을 따라 하고, 활기찬 푸가("호산나 인 엑셀시스(Hosanna in excelsis)")가 이어진다. "산투스"에는 피아니시모 심벌즈와 베이스 드럼이 추가되고, "호산나" 푸가는 확장되어 반복된다. 베를리오즈는 독창 부분을 10명의 테너가 부를 수 있다고 제안했다.
마지막 악장은 미사곡의 "아뉴스 데이(Agnus Dei)"와 영성체 부분을 포함하며, 목관악기와 현악기의 긴 코드가 특징이다. 이 악장은 "호스티아스"와 "인트로이투스" 등 이전 악장의 선율과 효과를 다시 사용한다.
5. 주요 음반
지휘자 |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 테너 | 녹음 장소 | 날짜 |
---|---|---|---|---|
장 푸르네 | 파리 라디오 방송국 및 에밀 파사니 합창단 | 조르주 주아트 | 생트외스타슈 성당, 파리 | 1943년 9월 |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및 빈 국립 오페라 합창단 | 레오폴드 시몽노 | 펠젠라이트슐레,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 1956년 8월 15일 |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 쾰른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노르트도이처 룬트푼크 합창단 | 니콜라이 게다 | 쾰른 푼크하우스 | 1956년 8월 26일 |
헤르만 셰르헨 | RTF 합창단 및 파리 국립 오페라 극장 오케스트라 | 장 지로도 | 앵발리드 생루이 교회, 파리 | 1958년 4월 |
찰스 문슈 |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뉴잉글랜드 음악원 합창단 | 레오폴드 시몽노 | 보스턴 심포니 홀 | 1959년 4월 26일 & 27일 |
토마스 비첨 |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로열 필하모닉 합창단 | 리처드 루이스 | 1959년 12월 | |
유진 오르만디 |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템플 대학교 합창단 | 체사레 발레티 | 필라델피아 | 1964년 4월 |
찰스 문슈 |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바이에른 방송 합창단 | 페터 슈라이어 | 헤르쿨레스 홀, 뮌헨 | 1967년 7월 |
콜린 데이비스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합창단 | 로널드 도드 | 웨스트민스터 대성당, 런던 | 1969년 11월 |
레너드 번스타인 |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및 라디오 프랑스 합창단 | 스튜어트 버로스 | 앵발리드 생루이 교회, 파리 | 1975년 9월 |
다니엘 바렌보임 | 파리 오케스트라 및 파리 오케스트라 합창단 | 플라시도 도밍고 | 메종 드 라 뮤추얼리테, 파리 | 1979년 7월 |
안드레 프레빈 | 런던 필하모닉 합창단,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로버트 티어 | 1980년 4월 | |
로버트 쇼 | 애틀랜타 심포니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 존 알러 | 애틀랜타 심포니 홀 | 1984년 11월 10일~12일 |
엘리아후 인발 | 프랑크푸르트 방송교향악단, NDR 합창단, 콘체르트페어아이닝 ORF 합창단 | 키스 루이스 | 알테 오퍼 | 1988년 |
제임스 레바인 | 베를린 필하모닉, 에른스트 젠프 합창단 | 루치아노 파바로티 | 예수 그리스도 교회, 베를린 | 1989년 6월 |
오자와 세이지 |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탱글우드 페스티벌 합창단 | 빈슨 콜 | 보스턴 심포니 홀 | 1993년 10월 23일 |
폴 맥크리시 | 브로츠와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브로츠와프 필하모닉 합창단, 가브리엘리 플레이어스 앤드 콘소트 | 로버트 머레이 | 성 마리아 막달레나 교회, 브로츠와프 | 2010년 9월 |
콜린 데이비스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합창단, 런던 필하모닉 합창단 | 배리 뱅크스 | 세인트 폴 대성당 | 2012년 6월 |
존 넬슨 |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필하모니아 합창단, 런던 필하모닉 합창단 | 마이클 스파이어스 | 세인트 폴 대성당 | 2019년 |
년도 | 테너 | 지휘자 오케스트라 및 합창단 | 레이블 |
---|---|---|---|
1956 | 레오폴드 시몽노 |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빈 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빈 국립 오페라극장 합창단 | CD: ORFEO DOR, ASIN: B0000044XR |
1958 | 장 지로도 | 헤르만 셰르헨 파리 오페라하우스 오케스트라 프랑스 국립 방송 합창단 | CD: Ades Records, ASIN: B000004C7Q |
1959 | 레오폴드 시몽노 | 샤를 뮌슈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뉴잉글랜드 음악원 합창단 | CD: BMG, ASIN: B000059O9U |
1964 | 체사레 발레티 | 유진 오르만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템플대학교 콘서트 합창단 | CD: SONY, SBK62659 |
1967 | 페터 슈라이어 | 샤를 뮌슈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바이에른 방송 합창단 | CD: Deutsche Grammophon, ASIN: B00005FJMT |
1969 | 로널드 도드 | 콜린 데이비스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합창단 | CD: PHILIPS, ASIN: B00000E34S |
1975 | 스튜어트 버로스 | 레너드 번스타인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프랑스 방송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프랑스 방송 합창단 | CD: SONY, ASIN: B07DVGWHGM |
1975 | 로버트 티어 | 루이 프레모 버밍햄 시립 오케스트라 버밍햄 시립 오케스트라 합창단 | CD: EMI, ASIN: B000024E0W |
1979 | 플라시도 도밍고 | 다니엘 바렌보임 파리 오케스트라 파리 오케스트라 합창단 | CD: Deutsche Grammophon, ASIN: B000025MZG |
1979 | 케네스 리겔 | 로린 마젤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합창단 | CD: DECCA, ASIN: B000063XWJ |
1980 | 로버트 티어 | 안드레 프레빈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합창단 | CD: EMI, ASIN: B07KZHLDLL |
1985 | 존 알러 | 로버트 쇼 애틀랜타 심포니 오케스트라 애틀랜타 심포니 오케스트라 합창단 | CD: Telarc, ASIN: B000003CTJ |
1988 | 키스 루이스 | 엘리아후 인발 프랑크푸르트 방송교향악단 함부르크 NDR 합창단 ORF 콘서트 협회 합창단 | CD: 데논(Denon), ASIN: B00008BDCR |
1989 | 루치아노 파바로티 | 제임스 레바인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에른스트 젠프 합창단 | CD: Deutsche Grammophon, ASIN: B000001GCV |
1990 | 장 뤼크 비아라 | 알랭 롱바르 보르도 아키텐 오케스트라 프라하 필하모니 합창단 슬로바키아 필하모니 합창단 | CD: Forlane, ASIN: B00002573N |
1993 | 빈슨 콜 | 오자와 세이지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탱글우드 음악제 합창단 | CD: BGM, ASIN: B001DVZK64 |
1994 | 빈슨 콜 | 오자와 세이지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탱글우드 음악제 합창단 | DVD: NHK 엔터프라이즈, ASIN: B0092RHJKG |
1994 | 키스 이카이아-퍼디 | 콜린 데이비스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드레스덴 국립 오페라극장 합창단 징포니콜 드레스덴 징아카데미 드레스덴 | CD: PROFIL MEDIEN, ASIN: B000QCTFQM |
1997 | 존 마크 에인즐리 | 샤를 뒤투아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합창단 | CD: DECCA, ASIN: B00005FKSV |
2003 | 토비 스펜스 | 로저 노링턴 슈투트가르트 방송교향악단 SWR 보컬 앙상블 슈투트가르트 라이프치히 방송 합창단 | CD: HANSSLER CLASSICS, ASIN: B000F1HLTC |
2003 | 주세페 사바티니 | 베르트랑 드 비리 빈 방송교향악단 빈 국립 오페라극장 합창단 빈 징아카데미 | CD: Oehms, ASIN: B000A32AX2 |
2004 | 프랭크 로팔드 | 로버트 스파노 애틀랜타 심포니 오케스트라 애틀랜타 심포니 오케스트라 합창단 | CD: Telarc, ASIN: B0002M5T70 |
2004 | 폴 그로브스 | 실뱅 캄브랑 바덴바덴·프라이부르크 SWR 교향악단 오이로파 콜 아카데미 | CD: Coda, ASIN: B001M0K2M8 |
2006 | 키스 루이스 | 콜린 데이비스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바이에른 방송 합창단 | DVD: Arthaus Musik, ASIN: B01I05O2R8 |
2012 | 배리 뱅크스 | 콜린 데이비스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합창단 | CD: LSO live, ASIN: B00B2A3UPY |
2017 | 케네스 터버 | 뤼도빅 모를로 시애틀 심포니 오케스트라 시애틀 프로 무지카 시애틀 심포니 합창단 | CD: Seattle Symphony Media, ASIN: B07GW3QSPF |
참조
[1]
서적
Choral masterworks: a listener’s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
웹사이트
Hector Berlioz – Requiem – Gener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05-12-29
[3]
웹사이트
Hector Berlioz – The Requiem – Historical Background
https://web.archive.[...]
2006-06-14
[4]
간행물
Hector Berlioz: New Edition of the Complete Works
Bärenreiter
1978
[5]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19
[6]
서적
作曲家別名曲解説ライブラリー19
[7]
서적
Choral masterworks: a listener’s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8]
웹인용
Hector Berlioz – Requiem – Gener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05-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